메뉴

광주광역시의회 서용규 시의원,“장애인 건강권 및 의료접근성 보장 조례안”대표발의

장애인 건강보건관리사업, 보건의료센터 운영 등 장애인의 건강권 향상을 위한 근거 마련

 

감찰일보 최태문 기자 | 광주광역시 장애인의 건강권 보장과 의료접근성 향상을 위한 근거가 마련된다.


16일, 광주시의회에 따르면 서용규 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이 대표 발의한 “광주광역시 장애인 건강권 및 의료접근성 보장 조례안”이 상임위를 통과했다.


이 조례안은 ▲장애인 건강보건관리 종합계획 시행 ▲장애인 건강보건관리 사업 ▲장애인 건강 주치의 사업 ▲장애인 보건의료센터의 지정ㆍ운영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조례가 제정되면 보다 내실 있는 정책 수립 및 사업 시행으로 장애인 보건관리 체계가 확립되고 장애인 보건관리 정책에 대한 광주시의 역할이 강화된다.


특히, 장애인의 생애주기별, 성별 질환 관리를 비롯한 영양관리와 운동지도 등의 건강관리사업, 장애인 관련 병원 종사자의 장애인식개선 교육, 장애인보건 관리를 위한 지역사회 협력 체계 구축 사업들을 지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조례안에는 장애인 건강 주치의 사업이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주치의 육성 및 교육훈련 지원, 지역의사회 및 각 의료기관 독려, 주치의 사업 홍보 및 정보제공 지원 등의 내용도 담고 있다.


서용규 의원은 “장애인 건강과 의료에 대한 정책과 지원은 많았지만 현장에서 체감하는 장애인들의 애로사항을 담지 못한 부분이 많았다”며 “이번 조례를 통해 장애인 건강보건관리 종합계획 수립 등 장애인 건강권에 대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돼 장애인의 건강권과 의료접근성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정치

더보기
김종배 인천시의원 반지하 주택, 개폐식 방범창 설치 지원 조례 전국 최초 마련해
 감찰일보 허진벽 기자 | 반지하 주택 침수 사망 방지를 위한 조례가 전국 최초로 인천시의회 본 회의에서 의결됐다. 인천시의회 제286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김종배의원(미추홀구제4. 국민의힘)이 대표 발의한'인천광역시 침수방지시설 설치 지원에 관한 조례 개정 조례안'이 19일 의결됐다. 그동안 집중 폭우가 쏟아져 현관문이 수압으로 막힐 경우 반지하 주택의 유일한 탈출구인 방범창이 폐쇄식으로 되어 있어 익사 사고가 발생해 근본적인 대책요구가 제기되어 왔다. 김의원이 대표 발의한 개정 조례안에 따르면, 제2조의 침수방지시설에 개폐식 방범창과 물막이판을 추가하고, 제3조에 시장은 주택 등의 침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침수 방지시설의 설치를 적극 권장하도록 했으며, 반지하 주택을 소유하고 있는 건물주는 개폐식 방범창이 설치될 수 있도록 협력하도록 제3조의2가 추가됐다. 개폐식 방범창은 침수 피해가 발생했을 경우 거주자가 실내에서 창문을 개방하고 탈출하도록 설계된 방범창을 말한다. 현재 반지하 주택에 설치된 폐쇄식 방범창을 개폐식 방범창으로 수리할 경우 설치 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시장과 군수·구청장이 지원하여 시비와 구비가 각각 50%씩